유튜브 알고리즘은 우리의 시청 습관을 분석하고, 우리가 더 오래 머물도록 설계된 추천 시스템입니다. 이 알고리즘에서 벗어날 수 있는지, 그리고 그 영향이 긍정적인지 부정적인지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1. 유튜브 알고리즘은 어떻게 작동하나요?
유튜브는 기본적으로 딥러닝 기반의 추천 시스템을 활용하여 사용자가 관심을 가질 만한 동영상을 제시합니다. 주요 요소는 다음과 같습니다.
- 시청 기록: 어떤 동영상을 얼마나 오래 봤는지
- 좋아요/싫어요 및 댓글: 콘텐츠에 대한 반응
- 구독 및 알림 설정: 어떤 채널을 구독하는지
- 검색 기록: 어떤 키워드를 자주 검색하는지
- 비슷한 사용자 데이터: 나와 유사한 취향을 가진 사람들의 행동
이러한 데이터를 분석해 개인 맞춤형 피드를 제공합니다. 즉, 사용자가 오래 머물고 더 많은 광고를 보게 만드는 것이 목표입니다.
2. 유튜브 알고리즘에 빠졌을 때의 장점과 단점
✅ 좋은 점
- 관심 있는 콘텐츠를 빠르게 찾을 수 있음
- 새로운 주제나 지식을 접할 기회 제공
- 개인화된 추천으로 유용한 정보 습득 가능
❌ 나쁜 점
- 알고리즘이 추천하는 비슷한 콘텐츠만 소비 → 편향된 정보 습득
- 원하지 않는 영상이 추천될 수도 있음 (음모론, 극단적인 영상 등)
- 무의식적으로 시간 낭비 (1~2개만 보려 했는데 몇 시간 소비)
- 과도한 소비로 생산적인 활동 감소
3. 유튜브 알고리즘에서 벗어나는 방법
🔹 1) 알고리즘 조작하기
유튜브가 제공하는 추천을 바꾸는 방법입니다.
- 의도적으로 다양한 콘텐츠 검색 (새로운 관심사를 검색하고 클릭)
- 구독 중심 시청 (알고리즘 추천 대신 직접 구독한 채널 중심으로 소비)
- 추천 동영상 무시 (자동 재생 기능 끄기, 추천 목록 클릭 줄이기)
🔹 2) 유튜브 시청 습관 바꾸기
- 시청 시간 제한 (앱 내 ‘시청 시간 알림’ 설정)
- 의도적으로 검색해서 시청 (추천 목록이 아닌 검색을 통해 원하는 영상 선택)
- 생산적인 활동과 병행 (유튜브 보는 시간을 독서, 운동 등과 균형 맞추기)
🔹 3) 알고리즘에 덜 의존하는 플랫폼 활용
- RSS 피드 활용 (관심 있는 채널의 새 영상만 확인)
- 브라우저 확장 프로그램 사용 (예: 유튜브 추천 목록을 숨기는 확장 프로그램 활용)
- 다른 콘텐츠 플랫폼 활용 (네이버 TV, Vimeo, 팟캐스트 등 대안적인 플랫폼 탐색)
결론
유튜브 알고리즘은 강력한 맞춤형 추천 기능을 제공하지만, 의도치 않게 우리의 시청 습관을 조종할 수도 있습니다. 알고리즘을 활용하되, 이에 종속되지 않기 위해 의식적으로 다양한 콘텐츠를 소비하고, 시청 습관을 조절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주의사항 : ChatGPT와 나눈 대화를 정리한 것이므로 이 점을 고려해서 읽으시기를 권장합니다.
유튜브 시청 기록 관리 (유튜브 알고리즘 끄기)
추가적으로 유튜브를 시청한 기록을 일시적으로 정지 시키거나, 시청 기록을 삭제하는 방법을 대해 살펴 보겠습니다.
PC에서 유튜브 화면을 보면 왼쪽에 위의 그림처럼 메뉴가 보일 것입니다. 여기에서 시청기록(https://www.youtube.com/feed/history)을 선택합니다.
여기에 보시면 시청 기록 지우기 메뉴가 있습니다. 이 메뉴를 선택하시면 그 동안 보았던 시청 기록이 삭제가 됩니다. 이 시청 기록이 삭제가 되면 유튜브 알고리즘에서 사용하는 기초 자료가 사라집니다. 이 후에 시청을 하는 것들은 다시 기록이 남겠지요. 그래서 그 다음 메뉴를 살펴보아야 합니다.
(지금까지의 기록을 유지하고 싶으시면 삭제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이 기록을 삭제하고 유튜브에 다시 접속하시면 유튜브가 추천해 주는 영상이 하나도 나오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걱정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영상을 몇 개만 다시 시청하면 추천 영상이 다시금 나옵니다. ^^)
그 아래에 "시청 기록 일시중지"가 있습니다. 이 메뉴를 선택하면 내가 시청하는 유튜브에 대한 기록을 일시중지합니다. 즉, 기록을 남기지 않습니다. 이제부터 보는 영상들은 기록에 남지 않습니다. 그리고 관련 추천 영상도 없습니다. 그러면 유튜브 알고리즘에서 해방 될 수 있습니다.
나중에 다시 설정을 바꾸고 싶으시면 언제라도 이 메뉴에서 "시청 기록 사용 설정"을 다시 선택하시면 됩니다.
이렇게 하면 필요할 때마다 유튜브 알고리즘의 사용을 사용자의 마음대로 선택할 수 있습니다. 유튜브 알고리즘에 빠져 너무 편향적인 정보들만 습득하지 마시고, 폭 넓은 정보들을 습득하셔서 넓은 시야와 넓은 안목과 제대로 된 판단 능력을 기르셨으면 합니다.
넘쳐나는 정보의 홍수 때문에 스스로 판단하지 않으면 나도 모르는 사이에 잘못된 정보를 습득할 수 있습니다. 기존 언론에서는 자체 검증 기능이 있었지만, 유튜브에는 그런 기능이 없습니다. 그러니 언제나 모든 것을 검증한다는 자세로 대하는 것이 잘못된 정보를 습득하지 않는 방법인 것 같습니다.
추가 : 유튜브 도움말입니다.
https://support.google.com/youtube/answer/95725
시청 기록 보기, 삭제 또는 사용/사용 중지 - 컴퓨터 - YouTube 고객센터
도움이 되었나요? 어떻게 하면 개선할 수 있을까요? 예아니요
support.google.com
유튜브 시청 관리 기록 화면입니다.
https://www.youtube.com/feed/history
https://www.youtube.com/feed/history
www.youtube.com
'컴퓨터에서는' 카테고리의 다른 글
[ Rust ] 러스트(Rust)는 어떤 컴퓨터 프로그래밍 언어인가? (6) | 2025.02.16 |
---|---|
중국의 딥시크(DeepSeek)를 어떻게 보아야 할 것인가? (4) | 2025.02.13 |
웹 브라우저 캐시 무효화 방법 in Django(장고) (6) | 2025.01.25 |
리눅스 명령어 top을 통해서 cpu 사용률에 대해 살펴보았습니다. (8) | 2024.11.20 |
아파치에서 graceful과 restart는 각각 어떤 경우에 사용하는 것일까요? (6) | 2024.11.1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