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하나성경

읽기 쉬운 성경, 하나성경을 소개합니다.

www.hbible.co.kr

책을 읽으며

'35년 1916-1920 3·1혁명과 대한민국임시정부'를 읽었습니다.

by 컴 여행자 2025. 3. 31.
728x90
반응형

 

35년
35년

 

 

 

'35년 1916-1920 3·1 혁명과 대한민국임시정부'를 읽었습니다.

 

35년 시리즈의 두 번째입니다.

 

삼일절의 만세운동에 대해 아는 것이 33인과 독립선언문, 유관순 누나 밖에 없었습니다.

그런데 그렇게 단순한, 가벼운 것이 아니었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대한민국의 독립의 역사의 과정에서 이 날의 운동이 큰 전환점이 되었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한 나라의 민주주의는 그 나라의 구성원의 수준에 비례한다는 말이 생각났습니다.

 

인터넷 검색을 해보니 비슷한 말이 나옵니다.

 

모든 국민은 그 수준에 맞는 정부를 가진다.
(Toute nation a le gouvernement qu'elle mérite.)

사르데냐-피에몬테 왕국의 프랑스계 보수주의자 조제프 드메스트르가 1811년 러시아 헌법 제정에 관한 토론 도중 한 발언.

출처 : 나무위키

 

 

정부는 그 나라를 구성하는 개인들을 반영한다. 국민보다 수준이 높은 정부라 하더라도 결국에는 국민들의 수준으로 끌어내려지게 마련이다. 국민보다 수준이 낮은 정부가 장기적으로는 국민의 수준으로 끌어올려지듯이 말이다. 한 나라의 품격은 마치 물의 높낮이가 결정되듯이 자연의 순리에 따라 법체계와 정부 안에 드러날 수밖에 없다. 고상한 국민은 고상하게 다스려질 것이고, 무지하고 부패한 국민은 무지막지하게 다스려질 것이다.

출처 : 새뮤얼 스마일스(Samuel Smiles)의 자기 개발서 《자조론(自助論)》

 

 

암튼 삼일절의 만세운동에 대해 다시금 생각해 보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또 재미있는 것을 발견했습니다. 이것이 아마도 원조 촛불집회가 아닐까 생각해 봅니다.

삼일절 만세운동에서 밤에는 횃불집회를 벌였다고 합니다. 

 

 

 

횃불집회
횃불집회

 

 

또 눈에 깊이 박힌 사실이 하나 있습니다.

 

이승만은 윌슨 대통령과 파리강화회의 앞으로 새 청원서를 작성했는데, 중앙총회와 의논 없이 두고두고 문제가 될 새 문안을 삽입한다.

"연합국 열강이 장래 한국의 완전한 독립을 보장한다는 조건하에서 일본의 통치로부터 한국을 해방시켜 국제연맹의 위임통치하에 두는 조처를 위할 수 있도록 지지하여 주시기를 간절히 청원하는 바입니다."

출처 : 35년

 

 

그 누구도 생각하지 못했던 세상에 처음 등장한 위임통치 발언입니다.

 

이 발언이 결국 우리나라가 남북으로 갈라지게 되는 사건의 시초가 아니었나 생각해 봅니다.

 

위임통치
위임통치

 

 

 

이제 3권을 읽어보려 합니다.

 

또 다른 사실을 알아가보려 합니다.

 

오늘도 행복한 하루가 되시기를 바랍니다. ^^

 

 

https://www.aladin.co.kr/shop/wproduct.aspx?ItemId=127334292

 

35년 2 : 알라딘

박시백 화백의 대하역사만화 <35년>은 일본에 강제 병합된 1910년부터 1945년 해방까지 일제강점기 우리의 역사를 다루고 있다. 자료 조사와 정리, 콘티와 밑그림, 펜 작업, 채색 등 모든 과정을 직

www.aladin.co.kr

 

 


2권 1916-1920 3.1혁명과 대한민국임시정부


|프롤로그| 1910년대 후반, 세계는

제1장 독립을 향한 꿈
민족운동의 약화와 러시아의 정세
한인사회당
민족자결주의와 상하이 지역의 대응
미주 지역의 대응
2·8 독립선언

제2장 1919년 3월 1일
거사의 준비 과정
조선이 독립국임을 선언하노라
만세운동의 시작
3·1만세운동의 확산

제3장 만세운동에서 혁명으로
야만적 진압
굴하지 않는 항전
폭력화하는 항쟁
국내의 3·1혁명

제4장 3·1 혁명의 파장
해외로 번진 혁명
제국주의 세계의 반응
3·1 혁명과 친일파의 움직임

제5장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출범과 활동
임시정부를 세우자
상하이임시정부의 시작
통합 임시정부로 가는 길
임시정부 조직과 활동
임시정부와 외교

제6장 그 밖의 이야기
1919년의 다른 일들
상하이파와 이르쿠츠크파

|부록|
2권 연표
2권 인명사전
2권 사료 읽기
참고문헌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