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정보보호의 날'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1. 정보보호의 날은 언제, 왜 제정되었나요?
- 정보보호의 날은 매년 7월 둘째 주 수요일입니다. 2009년 7월 7일 발생한 대규모 DDoS(분산서비스거부) 공격으로 인해 정부기관과 금융기관 등 주요 사이트가 마비되는 사건이 계기가 되어, 사이버 공격의 심각성을 알리고 국민들의 정보보호 의식을 높이기 위해 2012년부터 제정되었습니다. 이 날은 정부 여러 부처가 공동으로 지정하였으며, 같은 이유로 7월 전체를 ‘정보보호의 달’로 운영하고 있습니다.
2. 정보보호의 날에 어떤 행사가 열리나요?
- 정보보호의 날에는 정부 주관의 공식 기념식, 정보보호 관련 세미나, 국제 콘퍼런스, 정보보호 체험 부스, 정보보호 실천 캠페인 등 다양한 행사가 개최됩니다. 예를 들어 2024년에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행정안전부, 국가정보원이 주최하는 기념식과 기조연설, 정보보호 제품 전시, 첨단기술 체험 부스 등이 열렸습니다.
3. 정보보호의 날이 왜 중요한가요?
- 최근 사이버 공격, 개인정보 유출 등 인터넷 침해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어, 정보보호의 중요성을 국민들에게 알리고 실천을 유도하기 위해 매우 중요합니다. 피해는 공공기관, 기업뿐 아니라 일반 국민 개인에게도 심각한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모두가 정보보호에 관심을 가져야 합니다.
4. 개인정보를 보호하려면 어떤 실천이 필요한가요?
- 안전한 비밀번호 사용(문자, 숫자, 특수문자 조합, 주기적 변경)
- 백신 프로그램 설치 및 최신 업데이트
- 출처 불분명한 메일/문자 링크 클릭 금지
- 자동 로그인 기능 사용 자제, 공공기기 로그인 금지
- SNS, 인터넷에 개인정보가 노출된 사진/게시물 업로드 전 확인
- 스마트폰 앱 설치 시 접근권한 확인 및 공식 앱 마켓 이용
- 공공 와이파이, 블루투스 사용 시 보안 주의.
5. 정보보호의 날과 관련된 주요 사건은 무엇인가요?
- 정보보호의 날이 제정된 직접적 계기는 2009년 7월 7일 발생한 ‘7.7 DDoS 공격’입니다. 이 사건으로 청와대, 국회, 주요 포털, 은행 등 22개 사이트가 마비되고, 최소 363억 원에서 최대 544억 원의 금전적 손실이 발생했습니다. 이후 2011년 ‘3.4 DDoS 공격’ 등 대형 사이버 침해사고가 이어지면서 정보보호의 날이 공식적으로 지정되었습니다.
6. 정보보호의 날에 이용할 수 있는 정보보호 서비스는 어떤 것이 있나요?
- ‘털린 내 정보 찾기’ 서비스: 다크웹 등에서 내 개인정보가 유출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는 서비스
- ‘지우개(잊힐 권리) 서비스’: 아동·청소년 시기 작성한 개인정보 포함 게시물 삭제 지원
- 각종 정보보호 상담 및 신고 서비스(예: 118 사이버테러 신고, KISA 인터넷 보호나라 등).
7. 정보보호의 날이 기업이나 공공기관에만 해당되는 날인가요?
- 절대 그렇지 않습니다. 정보보호의 날은 공공기관, 기업뿐만 아니라 모든 국민이 정보보호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실천하도록 하기 위한 날입니다. 개인의 정보 유출도 심각한 피해로 이어질 수 있으므로, 모두가 관심을 가져야 합니다.
8. 최근 정보보호와 관련된 이슈나 경향은 무엇인가요?
- 최근에는 인공지능, 챗GPT 등 신기술의 확산으로 새로운 형태의 보안 위협이 등장하고 있습니다. 또한 중소기업, 쇼핑몰 등 보안이 취약한 곳을 노린 해킹, 피싱, 개인정보 유출 사고가 계속되고 있어, 개인과 기업 모두 평소 보안 관리가 더욱 중요해지고 있습니다.
※ 주의사항 : 일부 내용은 AI와 나눈 대화를 정리한 것이므로 이 점을 고려해서 읽으시기를 권장합니다.
제14회 정보보호의 날
제14회 정보보호의 날
www.secuday.kr
728x90
반응형
'분류를 찾으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헌절'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2) | 2025.07.10 |
---|---|
'오십견'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2) | 2025.07.09 |
'유두절'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2) | 2025.07.02 |
'소서'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6) | 2025.06.30 |
'철도의 날'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2) | 2025.06.2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