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마트폰에서 동영상을 보려고 하는데, 보기 좋은 해상도의 동영상은 어떤 것일까요? 360p? 480p? 720p? 1080p? |
스마트폰에서 동영상을 볼 때 적절한 해상도는 스마트폰 화면 크기와 인터넷 속도, 그리고 배터리 사용량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아래는 일반적인 가이드입니다:
1. 360p (640x360)
- 장점: 데이터 사용량이 적고, 저속 인터넷에서도 스트리밍이 원활.
- 단점: 화면이 작거나 품질에 크게 민감하지 않다면 괜찮지만, 화질은 낮음.
- 추천 상황: 데이터가 제한적인 환경, 화면 크기가 작은 저가형 스마트폰.
2. 480p (854x480)
- 장점: 360p보다 더 선명하면서도 데이터 사용량이 적당.
- 단점: 큰 화면에서는 약간 흐릿하게 보일 수 있음.
- 추천 상황: 중간 정도의 데이터 사용량을 원하는 경우.
3. 720p (1280x720, HD)
- 장점: 화면이 선명하고, 대부분의 중저가 스마트폰에서도 충분히 깔끔하게 보임.
- 단점: 데이터 사용량이 360p, 480p보다 높음.
- 추천 상황: 와이파이나 데이터 무제한 요금제를 사용하는 경우.
4. 1080p (1920x1080, Full HD)
- 장점: 매우 선명하고 디테일이 뛰어나며, 대화면 스마트폰에서 최적.
- 단점: 데이터 소모가 많고 배터리 소모도 상대적으로 높음.
- 추천 상황: 고화질 콘텐츠 감상, 데이터 제한이 없을 때, 고사양 디스플레이(예: AMOLED, 4K 디스플레이 사용).
최종 추천
- 화면 크기와 해상도가 작은 스마트폰: 480p 또는 720p가 적당.
- 고사양 스마트폰(Full HD 이상의 디스플레이): 720p~1080p 추천.
- 데이터가 제한적이라면 360p 또는 480p.
해상도를 선택할 때, 스마트폰 디스플레이의 해상도와 데이터 요금제를 고려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

데이터 요금제를 고려하지 않는다면, 요즘 나오는 일반적인 폰에서 적합한 것은 무엇일까요? |
데이터 요금제를 고려하지 않고, 요즘 출시되는 일반적인 스마트폰을 기준으로 한다면 720p(HD) 또는 1080p(Full HD) 해상도가 가장 적합합니다.
이유:
- 요즘 스마트폰 디스플레이 해상도:
- 대부분의 중급 스마트폰: Full HD (1920x1080) 해상도.
- 프리미엄 스마트폰: QHD(2560x1440) 또는 4K 디스플레이까지 지원.
- 따라서 720p 이상을 선택하면 화면의 선명함을 제대로 느낄 수 있습니다.
- 1080p가 가장 선명한 선택:
- 6~7인치 정도의 디스플레이를 가진 스마트폰에서는 1080p가 선명함과 디테일을 유지하기에 이상적입니다.
- 특히 영상의 텍스트나 작은 디테일도 깨끗하게 보이기 때문에 더 몰입감이 좋습니다.
- 720p는 배터리 효율 면에서 유리:
- 720p 해상도는 Full HD(1080p)보다 데이터와 배터리 소모가 적습니다.
- 그러나 화면 크기가 6인치 이상인 최신폰에서는 약간 부족한 선명도를 느낄 수 있습니다.
최종 추천
- 일반적인 스마트폰에서 최고의 경험: 1080p.
- 배터리와 발열 관리가 필요한 상황: 720p.
1080p로 설정하면 대부분의 최신 스마트폰에서 최적의 화질과 몰입감을 즐길 수 있습니다. 😊
※ 주의사항 : ChatGPT와 나눈 대화를 정리한 것이므로 이 점을 고려해서 읽으시기를 권장합니다.

첨언 :
화질을 구성하는 주요 요소는 해상도, 프레임 속도, 비트 레이트입니다.
화질을 떨어뜨리지 않고 용량을 줄이는 방법이 없다면 이 세 가지 가운데 어느 것을 포기하느냐의 문제입니다. 경우에 따라 다르겠지만 해상도와 프레임 속도를 낮추면 눈에 금방 표시가 납니다. 그러므로 비트 레이트를 낮추는 것이 가장 표시 나지 않게 용량을 줄이는 방법입니다.
유튜브 고객센터에서는 다음과 같이 안내하고 있습니다.
업로드 시 권장되는 비트 전송률은 아래와 같습니다.
SDR 업로드 시 권장 동영상 비트 전송률
4K 해상도의 신규 업로드 동영상을 보려면 VP9을 지원하는 기기나 브라우저를 사용하세요.
유형 | 동영상 비트 전송률, 표준 프레임 속도(24, 25, 30) | 동영상 비트 전송률, 높은 프레임 속도(48, 50, 60) |
8K | 80~160Mbps | 120~240Mbps |
2160p(4K) | 35~45Mbps | 53~68Mbps |
1440p(2K) | 16Mbps | 24Mbps |
1080p | 8Mbps | 12Mbps |
720p | 5Mbps | 7.5Mbps |
480p | 2.5Mbps | 4Mbps |
360p | 1Mbps | 1.5Mbps |
YouTube 권장 업로드 인코딩 설정 - YouTube 고객센터
도움이 되었나요? 어떻게 하면 개선할 수 있을까요? 예아니요
support.google.com
위의 비트 레이트는 유튜브의 권장 사항일 뿐입니다. 유튜브가 아닌 다른 상황에서는 권장 수치에서 50%에서 30%의 수치를 사용해도 무방할 듯합니다. 각 상황에 맞춰서 하시면 될 듯합니다.
'분류를 찾으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로또 1158회 당첨번호 (2025년 2월 8일 추첨) (4) | 2025.02.09 |
---|---|
염증 수치란 무엇일까요? (2) | 2025.01.26 |
레몬 머틀(Lemon Myrtle)은 무엇일까요? (6) | 2025.01.25 |
하루 중에 발은 언제 가장 큽니까? 언제 신발을 사면 좋을까요? (2) | 2024.11.11 |
흰 머리, 즉 새치는 뽑아야 할까요? (8) | 2024.11.01 |
댓글